2011. 7. 5. 22:14 글쓰기/영화 딴지걸기
기독교 신학으로 영화 이해하기 : ‘트루먼 쇼’ 와 ‘이집트 왕자’ 에서의 신의 모습, 인간과의 관계
이집트 왕자 시리즈의 세계에서는 신의 존재를 먼저 ‘참’으로 설정한다. 신은 존재하며, 그는 그의 백성과의 언약을 지키기 위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을 계획하고 이루어 나간다. 이는 헤겔이 말한 “인간의 역사는 신이 자신의 계획을 이루어나가는 과정이다.” 로 압축된다.
그 행할 일을 위하여 한 사람을 선택하고 그를 처음부터 끝까지 단련시킨다. 그 과정은 고통 그 자체일 뿐이다. 집안의 장남으로서 모든 것을 누리고 있던 요셉은, 믿었던 형들의 배신으로 인해 노예로 전락한다. 거기서도 그나마 잘 할 수 있었던 일은 있었지만 어처구니없는 누명으로 인해 감옥생활을 할 뿐이었다.
아무 것도 희망할 수 없는 절망의 나락이었다. 그 상황에서 요셉은 “당신은 나보다 더 많이 알고 있습니다. 나의 길을 이끄소서.” 이는 욥이 했던 고백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주께서는 무소불능하시며 무슨 경영이든지 못 이루실 것이 없는 줄 아오니 무지한 말로 이치를 가리는 자가 누구니이까. 내가 스스로 깨달을 수 없는 일을 말하였고 스스로 알 수 없고 헤라이기 어려운 말을 말하였나이다. 욥42:2~3]
이집트 왕자에서의 신은 ‘모든 길을 내게 맡기라’ 라고 명령하고, 그에 따랐을 때 기적은 일어났다. (여담이지만, 이집트왕자 1 에서는 순종하여 지팡이를 들었을 때 바다를 갈랐다) 그렇게 신 앞에 선 인간으로서 신의 절대성을 인정하고 그의 길을 따랐을 때 회복은 일어났다. 그렇게 그는 자기 자신을 사랑할 수 있었고, 그 사랑으로 자신의 형들마저 용서할 수 있었다.
트루먼 쇼의 세계에서는 절대자가 존재한다. 트루먼 쇼의 프로그램을 창조하고, 트루먼의 모든 행동을 관찰하며, 그의 인생마저도 만들어 내는 크리스토프(에드 해리스) 가 그 절대자이다. 영화 후반부로 가면, 그는 날씨를 조정하고 태양을 뜨고 지게 하는 등, 자연 환경까지 지배하는 ‘전지전능한’ 모습을 보인다.
그의 행동은 마치 기독교의 신을 돌아보게 한다. “바깥세상도 다르지 않아. 같은 거짓말과 같은 속임수, 하지만 내가 만든 공간 안에서는 두려워할 필요는 없어.” 가 바로 그것이다. 성경에도 이와 같은 구절이 있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요14:6] 아버지께로 나아온다는 것은 무엇인가. 이는 ‘구원’ 을 준다는 것, 즉 “나만이 너에게 구원을 줄 수 있다.” 라고 선언하는 것이다.
영화감독은 묻는다. “하지만 생각해보자. 그것은 과연 행복인가? 그것이 진정 구원인가?” 여기서 당당하게 Yes 라고 대답하는 것은 무리이다. (여담이지만, 짐 캐리가 나왔던 대부분의 영화는 기독교에 대한 ‘다른 의견’ 들을 제시한다. 최근 ‘예스맨’에서 그러하듯이.) 모든 일상이 대중에게 방송되고, 그것이 Show 가 되어 버리는 삶이다. 모든 것이 갖추어져 있는 에덴동산에서 살아가라 말하지만, 자유는 존재하지 않는다. 선악과를 먹기 이전의, 계몽되지 않은 인간의 삶이다.
기독교에서는 “빛으로 나아오라.” 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그 모든 것을 버리고, '어둠'을 택한다. 진정한 인간, true-man 이 되기 위하여. 배부른 돼지가 아닌, 배고픈 철학자가 되기 위하여, 그것이 인간이라고 말하는 당당함으로.